본문 바로가기

파친코게임다운로드 22.rzc216.top 오리 지날야마토

작성자: 나영빛차 등록일: 25-11-09 00:13

바다이야기 모바일 93.rzc216.top 바로가기 오리지날 야마토, 신규슬롯사이트



야마토게임동영상 13.rzc216.top 오공슬롯



오리지날야마토2게임 87.rzc216.top 릴게임 정보



바다이야기 환전 9.rzc216.top 오션파라다이스게임다운로드



릴게임 꽁머니 26.rzc216.top 야마토 2 온라인 게임



일본빠찡꼬 80.rzc216.top 무료충전야마토



pc게임 24.rzc216.top 최신야마토



프라그마틱 무료 11.rzc216.top 카카오 야마토 먹튀



없습니다. 83.rzc216.top 최신야마토



야마토2 pc버전 11.rzc216.top 강원랜드 슬롯머신 추천



릴게임다운 17.rzc216.top 도그하우스 하는법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야마토게임방법 손오공 릴게임 코리아 PC파칭코 바다이야기PC버전 무료인터넷바다이야기 황금성2 바다이야기확률 오션파라다이스 릴게임 손오공 바다이야기무료머니 온라인룰렛 릴게임놀이터 백경 일본 파칭코 잭팟게임 오션파라 다이스예시 황금성2 야마토2 릴게임 슬롯게시판 체리마스터 비법 한게임바둑이 바다이야기pc 신천지3.0 한게임포커 인터넷야마토주소 양귀비예시 유희왕황금성 야마토5다운로드게임사이트 릴게임 무료충전게임 성인놀이터 릴게임 공략법 슬롯 무료스핀 빠칭코 야마토카지노 온라인오션게임 우주전함야마토2205 릴게임 백경 오션파라다이스7하는곳 잘터지는 슬롯 종합릴게임 황금성 릴게임 황금성게임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슬롯게시판 pc빠찡꼬게임 오락실게임 파라다이스 슬롯게시판 릴게임정글북 프라 그마 틱 무료체험 머니 릴게임 백경 무료충전게임 카지노 잭팟 야마토노하우 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3 바다이야기사이트먹튀 릴게임5만 릴게임 코리아 인터넷야마토게임 야마토2 릴게임 다빈치릴게임다운로드 카지노 잭팟 신천지다운로드 무료야마토게임 릴게임놀이터 체리마스터 확률 일본빠찡코 손오공예시 릴게임 다운로드 먹튀 피해 복구 신천지게임 슬롯버그 무료머니릴게임 신천지3.0 모바일파칭코 무료슬롯 야마토창공 황금성배당줄 무료충전현금게임 바다이야기 노무현 온라인릴게임사이트 파칭코하는법 카카오릴게임 777 무료 슬롯 머신 황금성 게임 먹튀피해복구 프라그마틱 무료슬롯 무료충전 바다이야기 오션파라 다이스예시 잭팟 알라딘온라인릴게임 바다이야기먹튀 이벤트릴게임 슬롯 머신 html 인터넷 바다이야기 황금성게임동영상 슬롯릴게임 파라다이스오션 황금성검증 온라인야마토릴게임 체리 마스터 pc 용 백경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규칙 카지노 슬롯머신 바다이야기게임하는방법 알라딘오락실 릴게임뜻 릴게임 빠칭코게임 바다시즌7 오션바다이야기게임 팡멀티릴게임 한게임포커 인터넷릴게임 황금성온라인 황금성포커성 빠칭코 보물섬릴게임 알라딘다운로드 슬롯머신추천 바다이야기하는곳 우주전함야마토2199 온라인황금성주소 슬롯사이트 순위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은 지난달 25일 서울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틱톡 어워즈 2025’를 개최했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에는 구독자 등 3000명의 인파가 몰리며 유명 셀럽 못지않은 인플루언서들의 인기를 실감케했다. K-인플루언서들의 글로벌 영향력이 커진 만큼 생중계로 전 세계 팬들이 접속하는 모습도 보였다.
유튜브, 틱톡 등이 TV를 집어삼키면서 연말 시상식의 판이 바뀌고 있다. 과거와 달리 지상파 연예대상의 영향력은 축소됐고 틱톡,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이 자체적으로 개최하는 ‘크리에이터 어워즈’의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틱톡을 시작으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도 연말 시상식을 통해 한 해를 결산할 전망이다.

자영업자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이 지난달 25일 서울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틱톡 어워즈 2025’을 개최했다. 틱톡



올해 틱톡 어워즈에서 ‘대상’격인 ‘올해의 크리에이터상’은 글로벌 팬들 사이에서 ‘화채걸(H 루체레더 카드홀더 wache girl)로 불리는 인플루언서 ‘에이미’가 수상했다.

밤에 홀로 화채를 먹는 영상이 틱톡에서 바이럴 되면서 화제를 모은 인물이다. 해당 영상은 5000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올해 숏폼에서 뜨거웠던 ‘화채 먹방’ 트렌드의 시초가 됐다.
에이미의 틱톡 구독자는 570만명에 달한다. 그는 유 대부업취업 튜브(59만명), 인스타그램(232만명)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는 특히 두터운 해외 팬덤을 보유하고 있어 대표적인 K-인플루언서로 평가받는다.
틱톡 측은 “에이미는 뷰티, 먹방, 패션을 아우르는 다양한 콘텐츠로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크리에이터로 크게 성장했다”고 평가했다.
이번주 <더인플루언서>에서는 국가장학재단 전환대출 에이미를 만나 숏폼 트렌드와 콘텐츠 제작 철학, 노하우 등을 들어봤다. 다음은 일문일답.




틱톡 크리에이터 에이미. 틱톡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합니다.

은행직원 =저는 크리에이터 에이미(홍윤서)입니다. 주로 뷰티, 스킨케어, 그리고 일상 콘텐츠를 보여주는 크리에이터예요.
-틱톡커가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크리에이터를 시작한 건 그냥 버킷리스트 중 하나였어요. “한 번 해보자” 싶어서 처음에 영어 단어 표현을 알려주는 영상을 찍었는데, 제가 보기에 재미가 없는 것 같아 올리지는 않았죠. 그러다가 다이어트할 때 큰 기대 없이 올린 ‘다이어트 먹방’이 뜻하지 않게 조회수가 나오게 되면서 시작하게 됐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콘텐츠와 가장 인기를 얻은 콘텐츠는 무엇인가요.
=가장 인기를 얻은 건 화채 먹방이에요. 그리고 기억에 남는 건 바세린이랑 현미유를 섞어서 만든 홈케어 영상이에요. 그게 또 트렌드가 됐어요.
-먹방과 뷰티 콘텐츠를 병행해서 진행하는 이유가 있나요.
=처음엔 먹방 자체보다는 그냥 수다 떠는 게 너무 재미있었어요. 그렇게 음식을 먹으면서 먹으면서 “오늘 이런 일 있었고, 저런 일 있었어” 이런 얘기들을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먹방이 됐어요.
뷰티의 경우는 처음 시작했을 당시 틱톡에 ‘Get Ready With Me(민낯인 상태에서 화장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바꾸는 모습을 보여줌)’ 트렌드가 많았어요. 반대로 ‘Get Unready With Me’는 많지 않았거든요. 화장을 지우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하는 걸 찍었는데 그게 반응이 좋아서, 지금과 같이 스킨케어랑 수다를 섞는 식으로 발전하게 됐습니다.
-두 장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고 있나요.
=먹방은 감각적으로, 뷰티는 공감과 정보 중심으로 다뤄요. 둘 다 결국 제 일상의 일부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구독자들은 어떤 분들인가요. 팔로워들과 소통 비법이 있나요.
=제 구독자분들은 제 또래 여성분들이 많고, 표현하고 싶지만 방법을 몰랐던 분들이 많아요. “내성적이라 표현 못 하는데 에이미 영상 보며 연습하게 됐다”는 분들도 계세요. 소통은 댓글이나 DM으로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꾸준히 영상을 만드는 것’이에요. 그게 제 방식의 진짜 소통이에요.


화제의 ‘화채 먹방’ 이렇게 탄생했죠





팔로워가 570만명에 달하는 인플루언서 에이미의 틱톡 계정. 틱톡 캡처



-주로 어떤 콘텐츠를 올리고 있나요. 아이디어를 얻는 나만의 ‘인풋소스’가 있을까요.

=유행하는 걸 보고 “여기에 내가 더 해서 새롭게 만들 수 있는 부분이 있나?”를 항상 생각해요. 그게 뉴스일 수도 있고, 드라마나 제 주변의 이야기일 수도 있어요.
어떤 이슈를 보았는데 “이건 내가 얘기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면 그걸 주제로 이야기하는 영상을 찍어요. 촬영하면서 화장 지우거나 수다를 떨기도 하고요. 특별한 루틴은 없고, 그냥 계속 찍어요. 계속 찍다 보면 이게 맞는 콘텐츠라는 감이 오는 시점이 있습니다.
-‘화채’ 먹방은 어떻게 떠올렸나요.
=화채 영상은 완전 우연이었어요. 새벽 3시에 너무 화채를 먹고 싶었는데, 다른 집들이 그렇듯 저희 아빠도 야식 먹는 걸 그렇게 좋아하시지 않거든요. 그래서 떡진 머리에 생얼로 “아빠 몰래 시켰다”는 걸 영어로 찍었어요. 그게 하루 만에 100만 조회수를 넘고, 바이럴이 됐어요.
그 뒤로 화채가 틱톡 트렌드가 됐고, “화채키니”까지 생겼죠. 뷰티는 ‘Get Unready With Me’ 포맷을 처음 시도하면서 자리를 잡았어요. 저만의 포인트는 수다스럽고 ‘솔직한 나’를 숨기지 않는 거예요.
-숏폼 연출에 있어서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중요한 포인트가 있나요.
=“포킹(포인트 잡기)”을 제일 중요하게 생각해요. 소셜 미디어엔 영상이 너무 많잖아요. 그래서 첫 몇 초 안에 시선을 잡는 게 중요해요. 제스처나 리액션을 조금 세게 하고, 화면에 확 들어오게 연출해요. 하지만 그건 계산된 게 아니라 제 본래 성격이에요.
-콘텐츠를 만들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철학이나 원칙이 있나요.
=항상 “내가 시청자라면 이걸 볼까?”라는 기준으로 만들어요. 그게 제 철학이에요. 뷰티 영상을 찍을 때는 화장보다는 대화에 집중하고, 먹방은 오히려 말을 줄여요. 먹는 소리, 리액션, 분위기 같은 감각적인 부분이 주가 되니까요. 최대한 시청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려고 해요.


알고리즘보다 꾸준함이 중요해요





틱톡 크리에이터 에이미. 틱톡



-알고리즘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콘텐츠 성공 요인이 있을까요.

=저는 알고리즘보다 꾸준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알고리즘에 끌려다니면 스트레스만 쌓여요. 그냥 꾸준히 나다운 걸 올리는 게 제 방식이에요. 제 채널이 주목받은 이유는 솔직함, 털털함, 그리고 공감이라고 생각해요. 사람들이 속으로 생각만 하는 걸 제가 대신 말해주는 게 포인트죠.
-꾸준히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요. 창작 의욕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했나요.
=제 구독자분들이요. 제가 ‘걸리즈’라고 부르는 분들인데, 제 영상을 보고 힘이 났다거나 위로받았다고 해주실 때 정말 힘이 나요. 그리고 이건 아무에게나 오는 기회가 아니라고 생각해서, 귀찮아도 미루지 않아요. 기회가 왔을 때 무조건 잡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하고 있어요. 그게 제 원동력이에요.
-숏폼과 롱폼 콘텐츠의 차이와 활용 방식이 궁금합니다.
=틱톡 같은 숏폼은 짧은 시간에 많은 걸 보여줘야 해서 텐션이 중요해요. 반면 롱폼은 제 내면을 더 깊게 보여줄 수 있고, 시청자와 더 진하게 연결돼요. 틱톡은 빠른 호흡으로, 유튜브나 다른 플랫폼은 깊은 대화용으로 나눠서 활용해요.
-각 플랫폼별로 반응이 다를 텐데, 틱톡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는게 주효했나요.
=틱톡은 ‘보이는 라디오’처럼 생각해요. 사람들이 켜놓고 다른 걸 하면서 듣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영상이 1분짜리가 없어요. 대부분 2분 30초, 3분짜리로 길게 가요. 그게 저한테 더 잘 맞아요.
-본인의 콘텐츠가 팔로워에게 어떤 감정이나 영향을 미치길 바라고 있나요.
=제 영상을 보고 편하거나, 힘이 나거나, “나도 저렇게 말하고 싶었는데” 하는 공감을 받았으면 좋겠어요.


‘톱’ 찍은 틱톡커의 수익창출 비법은
-수익은 어떤 방식으로 창출하고 있나요.

=브랜드 협업과 광고를 주로 해요. 협찬 제안이 들어오면 다 써보고 테스트해요. 그중 진짜 좋다고 느낀 것만 선택해요. 저를 믿고 보는 분들을 기만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브랜드와 협업 시 꼭 지키는 원칙이나 팁이 있을까요.
=한 달은 꼭 직접 써보고, 먹어보고, 경험해요. 좋은 제품이 아니면 절대 올리지 않아요. 크고 작은 브랜드 상관없이, 제가 진짜 좋아야만 소개해요. 그게 제 원칙이에요.
-광고 콘텐츠와 오가닉(비광고) 콘텐츠의 비중은 어떻게 조절하고 있나요. ‘트렌드’와 ‘진정성’ 사이의 균형은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오가닉은 매일 하는 게 중요해요. 그 사이사이에 광고를 자연스럽게 섞어요. 한 달에 광고는 많아야 다섯 개 정도예요. 트렌드는 참고는 하지만 그대로 따라하진 않아요. 유행을 그대로 하면 잘 안 돼요. 그래서 제 스타일로 새롭게 풀어요.
-뷰티 콘텐츠를 포함해 전반적인 콘텐츠 제작에서의 철학이나 기준이 있을까요. 수익화 관련 본인만의 노하우가 있다면요.
=콘텐츠는 무조건 내가 진짜 좋아야 해요. 루틴은 없지만 꾸준히 찍어요. 협업할 땐 돈보다 진정성을 봐요. 좋아하는 브랜드는 금액 상관없이 하기도 해요. 돈이 목적이 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진정성 있게 하면 돈은 따라온다고 생각해요.
-만들고 싶은 콘텐츠와 구독자들이 원하는 콘텐츠의 간극을 어떻게 줄여가고 있나요.
=예전엔 내가 하고 싶은 걸 중심으로 했다면, 지금은 사람들이 보고 싶어 하는 걸 더 중요하게 봐요. 지금은 두 개를 맞춰가는 중이에요. 제가 좋아하는 것도 하면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도 함께 가져가요.


요즘 틱톡에서 가장 핫한 트렌드는
-최근 틱톡 트렌드나 이용자 변화에서 느낀 점이 있을까요.

=트렌드가 정말 빨라요. 예전엔 화채나 DIY, 수다형 뷰티가 많았는데 요즘은 ‘라이’나 ‘왜절’처럼 짧고 임팩트 있는 형식이 유행이에요. 트렌드가 다양하고 변화 속도가 빨라요.
-숏폼에서 AI를 활용한 영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어떤 변화를 감지하고 있나요.
=AI 영상은 많아졌지만, 사람의 콘텐츠만큼 인기를 얻진 못해요. 결국 보는 건 사람이니까요. 걱정되는 건 AI에 대한 기준이나 법이 없다는 거예요. 그게 정리되어야 건강한 생태계가 될 거예요.
-실제로 AI 활용 영상이 틱톡 생태계에 변화를 가져온 것이 있나요.
=허위 광고나 조작된 콘텐츠가 많아질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이거 바르지 마세요” 같은 영상들이 AI로 만들어지고, 진짜 교수님이나 라디오처럼 보이게 하거든요. 그게 위험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아직 AI를 직접 쓰진 않아요. 제가 직접 말하고, 찍고, 편집하는 게 좋아요.
-앞으로 먹방과 뷰티 콘텐츠는 트렌드에 변화가 있을까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지금은 재정비 기간이에요. 작년엔 같은 방식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그대로 가면 사람들도 금방 질려요. 그래서 지금은 다른 방식으로 풀 방법을 고민 중이에요. 먹방과 스킨케어는 유지하면서 시리즈 형태로 이어지는 콘텐츠를 만들려고 해요. 12월쯤엔 변화가 있을 거예요.
-틱톡은 국경이 없는 플랫폼입니다. 글로벌 팬과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틱톡은 글로벌 팬이 많고,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은 한국 팬들이 많아요. 그래서 틱톡은 영어 위주, 롱폼은 한국어 위주로 진행해요. 한국 팬들은 제 영어 영상도 리스닝처럼 즐기고, 해외 팬들은 제가 한국 이야기할 때 좋아하세요. 그래서 언어를 섞어서 소통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꿈꾼다면···일단 해봐





‘틱톡 크리에이터 어워즈 2025’에서 ‘올해의 크리에이터’ 상을 수상한 에이미의 모습. 틱톡



-이번 틱톡 어워즈에서 ‘올해의 크리에이터’ 상을 받았습니다. 소감은요.

=크리에이터로서 제가 얼마만큼 왔는지가 항상 궁금했었는데 여기까지 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늘 아껴주시는 팬 분들께 정말 너무 감사드리고, 제 자신 역시 너무 뿌듯하고 자랑스럽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하기 위해서 노력할 거예요. 더욱 많이 사랑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계획하고 있는 새로운 콘텐츠나 프로젝트가 있나요.
=지금은 재정비중이에요. 시리즈물로 이어지는 콘텐츠를 고민하고 있어요. 하나의 스토리나 불씨처럼 연결되는 무언가를 만들어보고 싶어요.
-크리에이터 활동이 인생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나요.
=저는 한 번 뭔가를 시작하면 매일 해야 하는 성격이에요. 그래서 틱톡도 거의 매일 올렸어요. 그러다 보니 이게 제 일상이 됐어요. 지금의 저는 프리랜서이고 이 일은 제 회사인 것 같아요. 모든 일정과 계획을 스스로 관리해야 해서 예전보다 훨씬 더 계획적이고 철저하게 살고 있어요. 크리에이터이기 이전의 삶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책임감도 커졌죠.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이들에게 조언해준다면요.
=“일단 해봐.” 그게 다예요. 처음부터 완벽할 수 없어요. 하다 보면 넘어지고 배우고, 그게 진짜 배움이에요. 위험하지 않은 선에서, 하고 싶은 걸 다 해보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목표가 궁금합니다.
=크리에이팅은 평생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매일 영상은 못 올리더라도 나이가 들어서도 일상을 공유하고, 재미있는 얘기가 있으면 나누고 싶어요. 이건 제 인생 앨범이에요. 그리고 크리에이터로서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연재를 시작합니다. 바야흐로 누구나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Originality)를 구축하고 신선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인플루언서 생태계를 소개하겠습니다. 네이버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다음 기사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8/mk/20251108075409837gjqq.png" data-org-width="647" dmcf-mid="FRrK63Dgv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8/mk/20251108075409837gjqq.png" width="658">

<황순민 기자의 ‘더인플루언서’> 연재를 시작합니다. 바야흐로 누구나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Originality)를 구축하고 신선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인플루언서 생태계를 소개하겠습니다. 네이버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다음 기사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